이와키국 (나라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와키국은 나라 시대인 718년 무쓰국을 분할하여 설치된 일본의 옛 행정 구역이다. 이와키, 시네하, 나메카타, 우타, 와타리, 키쿠타의 6개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현재의 후쿠시마현 하마도리와 미야기현 와타리군에 해당한다. 722년에서 724년 사이에 폐지되어 무쓰국에 다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와키국 - 소마 나카무라번
소마 나카무라번은 가마쿠라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 무쓰국 일대를 다스렸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영지를 지켜내고 번의 체제를 갖추었으나, 폐번치현으로 나카무라 현이 되었다가 후쿠시마현에 통합되었다. - 이와키국 - 이와키국 (메이지 시대)
이와키국은 메이지 시대에 무쓰국에서 분리되어 후쿠시마현 동부와 미야기현 남부를 관할했으며, 1869년에 설치되어 14개 군으로 구성되었다. - 폐지된 율령국 - 데와국
데와국은 712년에 설치되어 아스카 시대부터 에미시족과의 전쟁을 거쳐 영역을 확장했으며, 중세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지배를 받고, 에도 시대 이후 우고국과 우젠국으로 분할된 일본의 옛 행정 구역이다. - 폐지된 율령국 - 다네국
다네국은 일본 율령국 시대에 다네가시마와 야쿠시마를 포함하는 지역을 지칭하며, 677년에 처음 기록이 등장하여 남쪽 지역과의 교류 및 견당사 파견 등으로 중요시되었으나 824년 오스미국에 합병되었다. - 하마도리 - 이타테촌
이타테촌은 후쿠시마현 아부쿠마 고원 중턱에 위치한 내륙 마을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주민 대다수가 대피하여 장기간 피난 생활과 복구 과정을 겪고 있으며, 과거 농업 중심의 특산품을 생산했으나 현재는 인구 감소와 경제적 어려움, 관광 산업 침체를 겪고 있다. - 하마도리 - 가쓰라오촌
가쓰라오촌은 일본 후쿠시마현 아부쿠마 고원에 위치하며, 1889년에 설립되어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이지만,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주민 대피 후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으며, 농업 의존도가 높았다.
이와키국 (나라 시대) | |
---|---|
개요 | |
국명 | 이와키국 (石城国) |
위치 | 일본 무쓰국 남부, 이와키 지방 |
시대 | 나라 시대 ~ 메이지 시대 |
역사 | |
설치 | 718년 (요로 2년) |
폐지 | 724년 (진키 원년) |
재설치 | 8세기 후반 |
폐지 | 메이지 유신 이후 |
배경 | 무쓰국에서 분리 |
이유 | 후지와라 후히토의 사망 |
재설치 이유 | 무쓰국의 광대한 영역 통치 어려움 |
지리 | |
영역 | 현재의 후쿠시마현 남동부 미야기현 남부 일부 |
중심지 | 이와키시 |
행정 구역 | |
군 | 이와키군 (石城郡) 우다군 (宇太郡) 나메카타군 (行方郡) 시라카와군 (白河郡) 야사카군 (耶麻郡) 아이즈군 (会津郡) |
문화 | |
주요 유적 | 이와키 관衙 유적 |
정치 | |
국사 | 무쓰 국사가 겸임 |
기타 | |
후신 | 이와키국 (보신 전쟁) |
2. 역사적 배경
나라 시대 초기에 잠시 존재했던 일본의 율령국이다. 718년 무쓰국의 일부 군(郡)과 히타치국의 기쿠타군(菊多郡)을 분리하여 설치되었다.[2] 이와키국의 영역은 현재의 후쿠시마현 동부 해안 지역인 하마도리와 미야기현 남부 와타리군(亘理郡) 일대에 해당했다.
설치 후 얼마 지나지 않은 720년에서 724년 사이에 폐지되어 다시 무쓰국으로 통합되었다.[4][5][6][7] 이때 히타치국에서 편입되었던 기쿠타군도 무쓰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이와키국의 고쿠후(國府, 중심 관청) 위치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현재의 후쿠시마현 이와키시 다이라 지역의 오쿠니타마 신사 부근 또는 네기시 유적 부근으로 추정된다.
2. 1. 설치 배경
나라 시대인 양로 2년(718년) 5월 2일, 기존의 무쓰국 일부와 히타치국 일부를 합쳐 이와키국이 설치되었다.[2] 이는 이시세국 신설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무쓰국은 세 지역으로 나뉘었다.이와키국은 다음과 같은 군(郡)으로 구성되었다.
이와키국의 영역은 현재의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지역과 미야기현 와타리군 일대에 해당하며, 아부쿠마 산지 서쪽의 분지는 포함하지 않았다. 이는 보신 전쟁 이후 설치된 이와키국과는 영역이 다르다.
역사학자 가네가에 히로유키는 기쿠타군이 히타치국에서 편입되었고, 이와키국이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다는 점을 들어 이 지역이 도산도가 아닌 도카이도에 속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3]
이와키국은 오래 유지되지 못하고 양로 4년(720년)부터 진키 1년(724년) 사이에 폐지되어 다시 무쓰국으로 통합되었다. 양로 4년 11월 26일자 칙령[2]과 진키 1년 3월 25일 무쓰국 다이죠(大掾) 살해 기록[4][5] 등을 통해 폐지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진키 5년(728년) 4월 11일, 옛 이시세국에 속했던 시라카와군에 시라카와 군단이 설치된 기록[6]은 이시세국의 폐지를 확실히 보여주며, 이와키국 역시 비슷한 시기에 폐지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7] 이와키국 폐지 시 히타치국에서 편입되었던 기쿠타군도 무쓰국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2. 2. 폐지와 무쓰 국 재통합
이와키국은 양로 4년(720년)부터 진키 1년(724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폐지되어 다시 무쓰국에 통합되었다. 정확한 폐지 시점은 기록에 남아있지 않지만, 몇 가지 단서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루이주코쿠시』에 따르면 양로 4년(720년) 11월 26일에 무쓰국, 이시세국, 이와키국을 대상으로 한 칙령이 내려졌으므로, 이 시점까지는 이와키국이 존재했음이 확실하다.[2]
『쇼쿠니혼기』에는 진키 1년(724년) 3월 25일에 무쓰국의 다이죠가 살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 다이죠는 고쿠시 중 하나로, 규모가 큰 대국에만 설치되는 관직이다. 분할되었던 작은 무쓰국이 대국으로 취급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 사건 이전에 이미 이와키국 등이 무쓰국에 재통합되어 대국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
폐지의 더 확실한 간접 증거는 진키 5년(728년) 4월 11일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쇼쿠니혼기』에 따르면 이날 무쓰국에 시라카와 군단이 설치되었다.[6] 시라카와군은 본래 이시세국에 속해 있었으므로, 이 군단 설치는 이시세국이 폐지되어 무쓰국에 통합되었음을 의미한다. 학자들은 이와키국의 폐지도 이시세국과 동시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7]
3. 영역
718년 무쓰국의 일부와 히타치국의 기쿠타군을 합쳐 이와키국이 설치되었다. 이와키국의 영역은 당시 새로 편입된 기쿠타군을 포함하여 총 6개의 군으로 구성되었다.
3. 1. 구성 군
이와키국은 718년 무쓰국에서 분리될 당시 총 6개의 군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기쿠타군은 원래 히타치국 소속이었으나 이와키국 설립과 함께 편입되었다.이와키국을 구성했던 군은 남쪽부터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 기쿠타군
- 이시시로군
- 시메하군
- 나메가타군
- 우타군
- 와타리군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p. 408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続日本紀
[3]
간행물
七道制と日本の律令制国家運営
吉川弘文館
2023
[4]
서적
続日本紀
[5]
서적
城柵と蝦夷
[6]
서적
続日本紀
[7]
서적
律令国家東北史の研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